반응형
SMALL
알고리즘 태그
[정렬]
태그 설명
정렬이란 데이터의 집합을 어떠한 기준의 대소관계를 따져 일정한 순서로 줄지어 세우는것
문제
백준 문제 - 빈도 정렬
링크: 빈도 정렬
문제설명
위대한 해커 창영이는 모든 암호를 깨는 방법을 발견했다. 그 방법은 빈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창영이는 말할 수 없는 방법을 이용해서 현우가 강산이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획득했다. 이 메시지는 숫자 N개로 이루어진 수열이고, 숫자는 모두 C보다 작거나 같다. 창영이는 이 숫자를 자주 등장하는 빈도순대로 정렬하려고 한다.
만약, 수열의 두 수 X와 Y가 있을 때, X가 Y보다 수열에서 많이 등장하는 경우에는 X가 Y보다 앞에 있어야 한다. 만약, 등장하는 횟수가 같다면, 먼저 나온 것이 앞에 있어야 한다.
이렇게 정렬하는 방법을 빈도 정렬이라고 한다.
수열이 주어졌을 때, 빈도 정렬을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제가 입력되었을때, 입력된 값들 중에서 빈도수가 많은 숫자를 먼저 정렬하고, 같은 빈도수면 먼저 나온 숫자를 기준으로 정렬하면 된다.
📃 소스코드 및 설명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n, c = list(map(int,input().split()))
numbers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리스트 내부에서 각 숫자들의 순번을 파악하기 위하여,중복된 숫자를 제거하였다.
# 여기서 set을 사용하지 않고 따로 리스트를 만들어서 처리한 이유는
# set은 중복제거 + 자제적으로 sort까지 하기 때문에 내가 원하는 형식인
# 순서는 유지된채 중복만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나만의 중복 제거를 처리하였다.
set_numbers = []
[set_numbers.append(x) for x in numbers if x not in set_numbers]
# 마지막은 람다를 사용하여 count되는 숫자가 많은 수를 기준으로 하는 내림차순으로 설정하고,
# 중복을 제거한 리스트를 사용하여 해당 리스트에서 내가 찾고자하는 인자의 index위치를 기준으로
# 오름차순으로 정렬시켰다.
sorted_list = sorted(numbers, key=lambda x: (-Counter(numbers)[x], set_numbers.index(x)))
print(*sorted_list)
반응형
LIST
'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Python] 11508번 - 2+1 세일[정렬- 실버 4티어] (0) | 2022.03.15 |
---|---|
[BOJ][Python] 11656번 - 접미사 배열[정렬- 실버 4티어] (0) | 2022.03.15 |
[BOJ][Python] 11004번 - K번째 수[정렬- 실버 5티어] (0) | 2022.03.14 |
[BOJ][Python] 7795번 - 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정렬- 실버 3티어] (0) | 2022.03.13 |
[BOJ][Python] 2108번 - 통계학[정렬- 실버 3티어] (0) | 2022.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