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기 전..
도커를 커멘드 라인만 사용해서, 하기엔 불편하기 때문에 이미지와 컨테이너 마운트 등등 모든 행위를 GUI로 관리할 수 있는 툴이 있다고 해서 사용해 보게 되었다. 거두절미하고 바아로 시작해보자!!
설치
현재 내 컴퓨터에는 윈도우 + WSL + 도커가 설치 되어있다.
https://hub.docker.com/r/portainer/portainer-ce
Docker Hub
hub.docker.com
1. docker Hub에 들어가서 portainer/portainer-ce를 들어간다. docker Hub에 들어가면, 일반적인 portainer/portainer와 portainer/portainer-ce가 있는데 현재는 'ce' 버전만 지원한다고 해서 ce로 설치하게 되었다.
도커 허브에 들어가면 Deploy Porainer라는 링크가 있다. 해당 링크로 들어가주자
Portainer를 서버로 사용할 예정이므로 서버로 설치해주고,
도커 위에서 설치할 것이기 때문에 도커로 설치해준다.
나는 윈도우 10 Home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Hyper-v가 지원이 안되, WSL을 사용하고 있는데 만약 window 11이거나 윈도우 10 pro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하위 window 자체적으로 portainer를 설치해서 사용해도 무방할거 같다.
하위 커멘드 라인들을 복사해서 설치!
2번째 커멘드 라인의 경우 -p 8000:8000 -p 9443:9443 의 옵션을 삭제하고, -p 9000:9000 만 사용하게 옵션을 주었다
$ docker run -d -p 9000:9000 --name portainer --restart=always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v portainer_data:/data portainer/portainer-ce:2.9.3
이유는 8000번 포트는 Django 서버를 돌릴 포트기 때문에 삭제했고, 9000포트는 HTTP로 접속하려면 사용해야한다고 한다.(위에도 적혀있지만 한번더 강조하려고 아래 첨부한다.)
컨테이너가 생성되면 localhost:9000 번으로 들어가주게 되고, 포테이너가 뜨게 된다!ㅎㅎ
'프로그래밍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윈도우에서 django 컨테이너 mysql 컨테이너 연동시키기 (0) | 2022.05.15 |
---|---|
[Docker]Docker Container에 MySQL을 올려서 사용하기 (0) | 2022.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