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1 Python의 비동기 프로그래밍: 왜 내 코드는 기다리지 않을까? 당신이 음식을 주문하는 상황을 생각해봅시다. 동기적 방식이라면 주문하고 음식이 나올 때까지 그 자리에 서서 기다려야 합니다. 하지만 비동기적 방식에서는 주문 후 진동벨을 받고 테이블에 앉아 다른 일(대화하기, 메뉴 둘러보기)을 할 수 있습니다. 음식이 준비되면 벨이 울려 알려주죠.Python에서도 같은 개념이 적용됩니다. 동기 코드는 한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 후 다음 작업으로 넘어가는 반면, 비동기 코드는 작업을 시작한 후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완료된 작업의 결과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네트워크 요청, 파일 읽기/쓰기, 데이터베이스 쿼리와 같이 대기 시간이 긴 I/O 작업을 처리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이 글에서는 Python의 비동기.. 2025. 4. 21. Django에서의 동시성 제어: 비관적 잠금 vs 낙관적 잠금 현대의 웹 애플리케이션은 수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에 접근하고 수정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수정하려고 할 때, "동시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Lost Update" 현상입니다. 두 사용자 A와 B가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읽고, 각자 수정한 후 저장하면, 나중에 저장한 사용자 B의 변경사항이 사용자 A의 변경사항을 덮어써버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와 ORM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낙관적 잠금(Optimistic Locking)? 비관적 잠금(Pessimistic Locking)? 낙관적 잠금(Optimistic Locking): 충돌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 낙관적으로 가정.. 2025. 4. 16. Django ORM 성능 최적화: F() 표현식과 Q() 객체 완벽 가이드 Django ORM은 개발자가 SQL 쿼리를 직접 작성하지 않고도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이나 트래픽이 많은 서비스에서는 ORM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성능 차이가 크게 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Django ORM의 핵심 기능인 F() 표현식과 Q() 객체를 깊이 있게 살펴보고, 이를 활용해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Django ORM을 사용할 때 흔히 저지르는 실수 중 하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객체를 가져와 Python 코드에서 처리한 후 다시 저장하는 패턴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Race condition: 동시에 여러 요청이 들어올 경우 데이터 일관성 저하불필요.. 2025. 4. 15. Django Multi-Tenancy: SaaS 서비스에서 기업별 데이터 분리하기 "다른 기업의 데이터가 섞이면 어떡하지?" 처음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의 서비스를 설계할 때 가장 먼저 든 의문이었습니다. A 기업과 B 기업이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만약 A 기업이 B 기업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면? 상상만 해도 끔찍한 일이지요.이 글은 제가 SaaS 서비스는 '어떻게 기업별로 데이터를 완벽하게 분리할까?' 하는 고민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특히 많은 기업들이 사용하는 환경에서 데이터 안정성, 확장성, 유지보수 편의성을 모두 충족하는 방법이 필요했습니다.여러 방법을 탐색하다가 Django와 PostgreSQL의 강력한 조합인 'django-tenants' 라이브러리를 발견했고, 이를 통해 스키마 수준의 데이터 분리를 구현했습니다. 이 경험을 공유하고.. 2025. 4. 15. Django ORM 완벽 가이드: 기본부터 심화까지 Django-ORM CheatSheet!! Django 웹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다 보면 반드시 마주치게 되는 것이 ORM(Object-Relational Mapping)입니다. Django ORM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Python 클래스로, 레코드를 객체로, 필드를 속성으로 매핑하여 SQL 쿼리 대신 직관적인 Python 코드로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수 있게 해줍니다.저는 Django 프로젝트에서 ORM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찾다가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Django ORM과 QuerySet을 기본부터 심화까지 단계별로 살펴보고, 실제 프로젝트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예제와 최적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아래 코드는 모두 아래 Git 링크에서 확인 할 수 있어요!. GITHUB blog-code/class-1.. 2025. 4. 14. Django에서 비즈니스 로직 분리하기: 유지보수 가능한 코드의 비결 "모든 개발의 첫 걸음은 아름다운 View 함수로 시작되지만, 결국에는 카오스가 된다" - 어느 지친 Django 개발자 Django 프로젝트를 개발하다 보면, View 함수가 점점 커지고 복잡해지는 현상을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처음에는 10줄이었던 함수가 어느새 100줄이 되어있고,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베이스 로직, 응답 처리 로직이 모두 한 군데 뒤섞여 있습니다. 이런 코드는 테스트하기 어렵고, 디버깅은 더 어렵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개발자가 이 코드를 마주했을 때? 그들의 눈에서 희망의 빛이 사라지는 것이 보일 겁니다.😭😭(참고로 저또한 그랬습니다...)이 글에서는 Django 애플리케이션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방법과 그 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드의 관심사를 명확히 .. 2025. 4. 13. 이전 1 2 3 4 ··· 19 다음 반응형